건축설계 15

주차대수 선정 (ft. 안산시)

주차대수는 건축설계시 정말 중요하다. 대수 하나만 부족하더라도 심의를 통과하지 못한다. 실제로 한사무실에서 주차대수를 잘못계산하여 허가단계에서 돈도 못받고 무산됐다고한다. 주차대수는 어떻게 산정하는것인가? 법규확인이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주차대수는 을 기본으로 하되, 대지위치에 따라 해당 시의 주차장 조례를 확인해고 계산해야된다. 또한 지구단위에 속해있다면 해당 시청 웹사이트에서 지구단위를 확인하고 공지된 지구단위계획안과 계획도를 확인해야한다. 지구단위에 걸리는경우, 대부분 건폐율, 용적률도 다르며 조례나 시행령과 다른 기준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꼭 검토가 필요하다. 우선, 을 이용하여 기본 법규인 [주차장법]를 살펴보자. 법제처 앱에 '주차장법'을 검색하면 가장 큰 법규인 '주차장법', 그다음인 '주차장..

창호도 작업 (ft. 에너지도면)

창호도작업을 하면서 느낀점 1. 서문 입사하고 처음 창호도 작업을 할 때 모든 창호가 일류적으로 프레임 두께, 프레임 재질, 유리종류, 유리두께, 등등 다 같은 건줄로만 알았다. 그래서 예전 프로젝트 창호이람표를 가져와 복사붙여넣기 한 후 입면과 평면을 비교하며 사이즈와 프레임간격 문폭만 조절해가며 작업을 했다. 허가가 나기까지도 장애인 문폭만 제외하고는 창호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경우는 별로없었다. 공무원들이 창호도의 세세한 부분까지 들여다보는 경우도 없고 평면이나 단면도같은 중요한 도면들이 있기 때문에 설계팀 내부에서도 별로 확인을 하지 않았다. 다행히 창호도 문제가 실시도면 납품도서를 꾸리면서 걸러졌다. 2. 창호 프레임 사이즈 우선 출입구 유리문이건, 커튼월이건 모든 창호가 120X50 으로 설계된..

건축설계업무처리 협력업체 검토내용 (설비)

심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건축기본도면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가 대략적으로 정리가 되면 건물내부에 들어가야하는 설비부분의 면적과 용량 산정을 요청하기 위해 업체들에게 도면을 보내게된다. 협력업체들에게 작은 규모 건물일 경우 경우 빠르게는 2~3일정도면 대략적인 정보를 보내준다. 아래와 같이 도면에 각 공간별 얼마정도의 면적이 필요한지 메모해주는 정도이다. 검토내용을 확인하면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나오게 된다. 맨위 지하 1층 평면도의 경우 애초에 계획된 도면보다 더 넓은 설비공간이 요구되었고, 넓어지게 되면서 피난법규적용에 따라 계단이 하나 더 추가해야된다. 지하부분이야 용적율산정에 들어가는 면적도 아니고 한개층이기 때문에 무리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평면조정이 가능하다. 그 바로 밑의 지상 2층도면의 경우..

건축설계시 석재뿜칠 대신 석재미장

건설사에 견적용 도면을 전달하고 건설비가 예상된 것 보다 많이 나왔다.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시트로 곡선 모형을 둘러 건물외장을 장식하고자 계획했었는데, 그 부피를 줄이기로 결정되었고, 주상복합건물의 지하 주차장 램프부분, 지상 1,2층 외벽을 모두 석재로 둘렀던 기본 계획에서 석재 뿜칠로 바뀌기로 결정되었다. 그레더해 옥상에 디자인됐던 구조물도 그 크기를 축소하여 안의 부재사이즈와 수량을 줄였다. 실시설계 납품 뒤 건설사 엄청난 분량의 검토서가 거의 1~2주 단위로 분야별 전달되었다. 그 중 하나는 예산으로 변경되었던 석재뿜칠을 석재미장으로 변경해달라는 의견이었다. 이유는 석재뿜칠 작업시 규정상 분사방식(뿜칠) 도장작업의 경우 반드시 방진망을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준공 후..

건설사 검토사항-실내재료마감도 욕실벽체

오피스텔 주거부분 욕실의 벽체 실내재료마감도이다. 건설사측에서 석고보드위에 도막방수/보호몰탈대신 타일본드부착으로 변경해달라는 내용이었다. 석고보드가 이미 방수용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도막방수가 따로 불필요하여 삭제하였고 타일을 붙일 때 몰탈의 경우 탈락의 우려가 있어 아래와 같이 타일본드부착으로 변경하였다.

스프링클러헤드 배치기준/ 높이 기준 (스크랩)

http://blog.daum.net/shield/11641130 스프링클러헤드 배치기준 ◈ 헤드의 배치 기준 ◈ 1) 스프링클러 헤드는 소방 대상물의 천정·반자·천정과 반자 사이, 닥트·선반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폭이 1.2m를 초과하는 것에 한한다)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폭이 9m 이하인 실내에 있어서는 측벽에 설치할 수 blog.daum.net

건축설계- 설비공간 (스크랩)

건물의 각실 이름 , PD실, PS실,TPS실, EPS실 건물의 각실 이름 , PD실, PS실,TPS실, EPS실아래 사진은 PD실 스리브 설치모습AD(AIR DUCT) : 환기설비를 위한 공간 , 복도나 화장실 부근에 있음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PD (PIPE DUCT) : 설비 배관용 이동통로 PS ( PIPE SHAFT) : 설비배관 통로 PD = PS 같은 의미로 사용됨기계설비의 급,배수 cafe.daum.net 1. AD(Air Duct) - 환기설비를 위한 공간, 복도나 화장신 부근에 있음,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 2. PD (Pipe Duct) - 설비 배관용 이동통로 3. PS (Pipe Shaft) - 설비배관 통로, PD=PS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고 함. 기계설비의 급, 배수, 온수의 이..

건축설계 2019.09.16

전기설비설계 기본사항

샤프트는 각종 배관과 덕트, 연도 등을 설치하는 수직공간이다. 샤프트의 위치는 배관과 덕트 경로가 단순하고 최소화될 수 있는 곳에 정하여 배관과 덕트의 공사비용과 운전비용을 최소화 하고, 시공과 유지보수가 쉽도록 고려한다. 1. 일반사항 1.1 전기설비설계 기본사항 (1) 건축법상의 건축전기설비를 포함한 전기설비가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내에서 일정한 시설공간이 필요하며, 이때 필요한 시설공간은 전력설비 관련 수·변전실, 발전기실, 축전지실, 감시 및 제어실, 방재센터, 엘리베이터 기계실, 방송실, 집중구내통신실(MDF실·광단국실 등) 및 기타 전기관련실과 수직계통의 전기샤프트(전력용 및 정보통신용) 등이 있으며, 건축물의 종류와 필요에 따라 계획한다. (2) 건축물에 배치되는 전기설비의 각종..

건축설계 2019.09.16

계단 단면도/ 평면도 캐드도면작업 주의사항

계단 단면도 1. 바닥높이 정확하게 2. 벽 소수점 안생기게 3. 코너 잘리는 부분 4. 치수 넣는거 층사이 2100넘으면 되는거니까 사이 아슬아슬한 부분찾아서 넣기 5. 해치가 잘못들어가서 잘려보이는 경우가 많음 계단확대평면도 1. 평면도상 바뀐거 적용 2. 주변 위치 표기 명확 3. 단 개수 확인 4. 위 아래 수자 표기 제대로 돼있느지 확인 5. 레이어 위아래 ( 단열재, 계단 참, 벽 바닥패턴들) 6. 위치표기 박스안 중간에 있는지 7. 단면기호 방향 동그라미안 수 제대로 표기돼있는지 8. 안에 올라감, 내려감 표기, 방향표기, 치수 명확히!!!! 9. X,Y 좌표 재확인/ 계단 위치가 바뀌는 경우 있음